목록DevOps/OS (31)
devops
리눅스의 기본 에디터인 vim을 다루기 위해선 단축키를 숙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워낙 많아서 다 외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주로 사용할 단축키만 간단히 정리해보려 한다.기본 이동h, j, k, l : 상하 좌우 이동gg : 줄 맨 위로 이동shift + g : 줄 맨 아래로 이동단어, 문장 이동b : 단어의 시작위치로 이동(backward)e : 단어의 마지막 위치로 이동(forward)^ : 문장 맨 앞으로 이동$ : 문장 맨 뒤로 이동줄번호 이동[: + set number] : 줄번호 설정[esc] + [:] + [줄번호] : 원하는 줄번호로 이동편집i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문자 앞에 insertdd : 커서가 위치한 줄 삭제dw : 커서의 위치부터 단어의 마지막까지 삭제x : 커서가 위치..
Load Average? 프로세스의 여러 상태에서 Running(자원을 소모하고 있는 실행 상태), Uninterruptible Sleep(I/O 작업 처리를 대기 중인 ps상태, D 라고도 한다)에 있는 프로세스들의 개수를 1분, 5분 15분 단위로 평균을 만든 것이다. 값이 작을 수록 부하가 덜되었다는 의미 0.00 : CPU 사용률이 없다 (싱글코어 기준) 1.00 : CPU를 100% 사용 (싱글코어 기준) 1.00 이상인 경우, 2.00은 50%는 처리중, 50%는 대기중 (싱글코어 기준) *1분 동안의 값이 15분에 비해 작으면 이는 장애가 발생한지 좀 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5분 값에 비해 1분과 5분 값이 높으면 부하가 심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Load Avera..
sudo systemctl daemon-reload 명령어 실행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그럼 아래 명령어로 해결하면 된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qq daemonize dbus-user-session fontconfig sudo daemonize /usr/bin/unshare --fork --pid --mount-proc /lib/systemd/systemd --system-unit=basic.target exec sudo nsenter -t $(pidof systemd) -a su - $LOGNAME snap version https://gist.github.com/alyleite/ca8b10581dbecd722d9dcc35b50..
1) vscode 파일이 설치된 경로를 확인한다. 대체로 아래 경로에 위치해있음. "/mnt/c/Users//AppData/Local/Programs/Microsoft VS Code/bin" 2) 홈디렉토리에 .bash_profile 혹은 .profile 에 아래 코드를 입력해서 환경변수를 추가한다. (ls -a하면 숨김파일 나옴) export PATH=$PATH:"/mnt/c/Users/socia/AppData/Local/Programs/Microsoft VS Code/bin" 3) 터미널을 재실행한 후 다시 code .를 입력하면 정상 작동한다.
리눅스 권한 리눅스 파일권한은 4개로 등분되어있다. 1번은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Directory, Regular, Symbolic link 이 세 가지를 나타낸다. 2번은 User의 권한, 3번은 Group의 권한, 4번은 파일에 대한 모든 유저의 권한이다. 세부 권한은 위에 보이는 것처럼 rwx로 나타내는데 r은 read로 읽기, w는 write로 쓰기, x는 excute 실행이다. 위처럼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엔 저렇게 파일의 종류, 유저 혹은 그룹의 세부 권한이 나타난다.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 파일 혹은 폴더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변경하려면 chmod 명령어를 사용한다. 위 자료처럼, rwx를 3bit로 해석하여 숫자 3자리로 권한을 표시하는 Absolute Form과 +, - = ..
> wc access.log 줄, 단어, 바이트 >wc -l access.log 줄 >head -n 50 access.log | wc -l SED > head -n 5 access.log | sed 's/0000/9999/' | grep '9999' 앞 5줄에 0000을 9999로 바꾸지만 원본은 바뀌지않음. 파이프라인은 원본은 바뀌지않는다. 출력에만 바뀐다. > head -n 5 access.log | sed '3 s/0000/9999/' | grep 9999 세번째 라인만 바꿀 수 있음. > head -n 5 access.log | sed '1,3 s/0000/9999/' | grep 9999 1~3번째 라인까지만 9999로 바꿈. > head -n 2 access.log | cut -d " " -f..
표준스트림과 stdin, stdout, stderr 특정한 프로그래밍 언어 인터페이스뿐 아니라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환경(일반적으로 단말기) 사이에 미리 연결된 입출력 통로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유닉스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실행 시 세 개의 스트림이 자동으로 열린다. 이를 표준 스트림이라고 부른다. 하나는 입력을 위한 스트림(Standard input, STDIN, 0), 하나는 출력을 위한 스트림(Standard Output, STDOUT, 1), 하나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트림(Standard Error, STDERR, 2)이며, 이 세 개의 표준 스트림은 사용자의 터미널에 부착된다. 표준 입력 (stdin) 표준 입력은 프로그램으로 들어가는 데이터..
리눅스기반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갑자기 던전에 빠진 것처럼 Grub창이 뜨는 화면이 나오곤한다. 다시 부팅해도 이 화면이 나오는데, 사실 Grub이라는 것은 GNU 프로젝트에서 만들어진의 부트로더다. 주로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체로 Root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때, 찾기 위해서 사용한다. Grub의 rescue-mode는 '최소한의 커널코드로 부팅'하는 개념이라 Root 패스워드를 복구할 수 있다. 암튼 복구하여 빠져나오는 방법은 $ grub rescue> ls ls를 치면 파티션 리스트가 나온다. 여기서 파티션 마다 하나씩 ls를 쳐서 테스트를 한다. 예를들면 파티션이 (hd0), (hd1) 이 나온다면 아래와같이 입력해본다. $ grub rescue> ls (hd0)/ $ grub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