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파일코인 (8)
Blockchain & Devops

스토리지 코인은 파일코인과 같은 분산화 스토리지 플랫폼이자, 국내 거래소에도 많이 상장된 유명 코인이다. 현재 시총 순위는 244위로 랭킹이 계속 밀려나고 있다. 스토리지 코인의 네트워크에는 현재 12,233개의 노드가 활동하고 있으며, 전체 용량은 5.9 PB다. 파일코인이 10 EB가 넘는 것과 비교하면 아주 작다. 다른 스토리지 서비스 코인들과 비슷하게 노드를 운영하면 대역폭을 Storj DCS(Decentralized Cloud Storage)에 할당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는 조각으로 나뉘어 노드들에게 랜덤으로 보관된다. 클라이언트는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댓가로 Storj를 지불하고 노드는 보상을 받는다. 채굴 최소 요구사양 - 1 core 이상 - 최소 550GB의 저장공간 - 한 달 최소 2TB의..

미국의 뉴욕시는 파일코인 네트워크에 뉴욕의 공공데이터를 보관하는 실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파일코인 재단과 뉴욕시는 향후 5년간 파일코인 네트워크가 뉴욕시의 데이터 운영 및 관리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뉴욕시 고위공무원의 말에 따르면 기존 데이터 보관 방식에서 분산화 스토리지 공간을 활용할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더 안정적이고 높은 보안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했다고 한다. 미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뉴욕에서 파일코인 네트워크를 테스트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5년간 안정적인 데이터 저장을 확인할 경우, 뉴욕과 더불어 기타 도시, 공공기관 이어서 기업 단위로 파일코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분산형 P2P 스토리지 코인 중에 조상님 소리를 듣은 시아코인(SC)이다. 시아코인은 2013년 해커톤에서 나온 아이디어로 시작된 프로젝트다. 월 2달러에 1T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대비 아주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아마존은 월 23달러) 채굴방법 비트코인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PoW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래서 비트메인의 앤트마이너같은 전문 채굴기를 활용해야하는 정말 비효율적인 채굴방식이 필요하다. PoW 방식이기 때문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처럼 혼자 채굴하는 것보다 채굴풀에 들어가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F2Pool, SIAMINING이 가장 유명하다.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정해야함) 채굴할 때 전용 소프트웨어가 있다. AMD(OpenCL), Nvi..

대부분의 코인들은 초기 보상되는 채굴량이 많고 뒤로 갈수록 가파르게 줄어드는 모델을 사용한다. 그러다 보면 채굴자들은 단기적인 수익실현을 하게 되면서 채굴자도 시간이 갈수록 줄어드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이런 일반적인 모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악영향을 끼친다. 파일코인은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2가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한다. (추가로 Mining reserve라는 채굴 준비금도 채굴 보상에 활용한다) 1) Simple minting (단순 주조) 2) Baseline minting (기준선 주조) 현재 파일코인 에포크(Epoch) 별 보상은 이 두 가지 모델 FIL보상의 합산으로 정해진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Simple minting 단순 주조는 3억 3000만개가 배정되어 있는 보상으로..

1. IPFS?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는 P2P 분산 파일 시스템이다. IPFS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는 방화벽에 방해받지 않고 세계 어느 지점에서나 접근할 수 있다. 더 빠르고 안전하며 개방된 네트워크에서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쉽게 말해서, IPFS는 프로젝트 이름이나 토큰이 아니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한 종류라고 보면 된다. IPFS는 기존의 중앙 집중식 HTTP 프로토콜과 달리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데이터 저장소 기반을 제공하는 분산 저장소 네트워크다. 그래서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은 결국 IPFS 프로토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IPFS는 사람들이 더 쉽게 연결하고 전 세계적으로 슈퍼 웹을 형성하는 P2P 네트워크..

파일코인의 채굴량, 블록높이, 담보량, 가스비 등 채굴에 필요한 주요 정보는 이곳 필폭스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채굴하는 분들에게 아주 중요한 사이트 중 하나다. Filfox.io 1) 블록높이 1블록 당 약 10TiB 저장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즉 현재 블록이 1,086,228개로 10,862,280 TiB가 쌓여있다고 볼 수 있다. 2) 최신 블록 생성 시간 블록 생성에 걸리는 시간이다. 일정한 블록 타임을 유지하기 위해 파일 네트워크는 해시레이트에 따라 난이도가 자동 조정된다. 3) 네트워크 채굴파워(해시레이트) 파일코인 스토리지의 총 저장 사이즈를 의미한다. 4) 참여중인 채굴자 32GB 실링에 성공하여 프로토콜랩사의 인증을 받은 업체 수다. 5) 블록보상 블록 1개 당 보상하는 파일..

루트키 보유자(Root Key Holders) 루트키 보유자는 주관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파일코인의 온체인 커뮤니티에서 내리는 결정을 집행하는 조직이다. 이 커뮤니티 정책에 어긋날 경우에는 FIP를 통해서 역할이 사라질 수 있다. 현재 등록된 루트키 보유자는 총 3개의 조직이다. Protocol Labs(프로토콜랩스) / 2020.10.15 승인 Filecoin Foundation(파일코인 재단) / 2021.1.15 승인 Ethereum Foundation(이더리움 재단) / 20211.1.15 승인 역할과 책임 루트키 보유자는 공증인(Notary)을 선발하거나 공증인 권한을 박탈시킬 수 있는 막강한 역할을 한다. 커뮤니티 거버넌스가 내린 결정을 실행하며, 최종 결정에 빠르게 조치를 취해야한..

데이터캡(DataCap) 데이터캡은 클라이언트가 양질의 데이터를 공증인에게 심사받아 통과하면 할당받는 인증서라고 보면된다. 이 데이터캡을 보관한 마이너는 일반 데이터보다 10배의 파일코인을 보상받을 수 있다. 데이터 검증 과정 양질의 데이터를 검증받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프로토콜랩사에서 제공하는 Interaction 다이어그램을 참고하면 좋다. 아래 빨간색 화살표를 기준으로 보면된다. 1) 공증인(Notary)이 되어 데이터캡을 받기위해서 거버넌스에 지원한다. 2)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공증인을 정해진 기준에따라 심사한다.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루트키 홀더(Root key Holders)가 공증인으로 임명함과 동시에 데이터캡을 제공한다. 3) 클라이언트(CLIENTS)는 데이터를 보유한 고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