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07/16 (4)
devops
쿠버네티스 컨테이너에서 정의되는 Volume은 컨테이너의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컨테이너 간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볼륨은 여러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맞게 사용된다. 복습 겸, 정리해보자. # 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productpage-v1 labels: app: productpage version: v1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productpage version: v1 template: metadata: annotations: prometheus.io/scrape: "true" prometheus.io/port..
Opstack Transaction L2의 트랜잭션은 L1인 이더리움에 먼저 기록되어야 한다. op-batcher가 L2 트랜잭션을 L1에 전송하지만, 모든 사용자는 batcher를 우회하기 위해 L1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도 있다. L2의 상태 업데이트를 위해 op-geth에서 트랜잭션이 실행된다. 그 후엔 op-proposer가 새 상태의 커밋을 L1에 전송한다. L2 Transaction Process 가장 먼저 user의 Tx는 L1의 batch inbox에 전송해야하는데, 여기서 트랜잭션들을 Batch로 압축하여 L1에 포스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op-batcher는 압축률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시퀀서 배치를 채널로 나눈다. 채널이 채워지거나 시간이 초과되면 채널이 압축되고 저장된다. 1) L1..
Deposit을 L1의 거래 혹은 이벤트에 의해서 트리거되는 모든 L2거래를 의미한다고 한다. Deposit Flow 대부분의 Layer2는 Layer1의 네이티브 코인을 가스비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브릿지 과정인 Deposit과 Withdraw 프로세스를 아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Deposit에는 ETH 혹은 토큰과 같은 자산이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포함되지 않을 수 도 있다) Deposit, Withdraw 프로세스는 약간 Network stack이 작동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정보가 송신의 하위 계층에서 캡슐화되고 수신 측의 같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올라간다. L1 프로세스 1) L1의 컨트랙트 혹은 EOA(개인 계정)은 sendMessage 함수를 이용하여 L1Cr..
요즘 다양한 Layer2 SDK가 출시되고 있지만, Optimism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같다. 코인베이스의 BASE부터 샘알트만의 Worldcoin, BNB의 L2인 opBNB까지.. 이미 Optimistic 롤업의 표준인 만큼 롤업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Opstack의 아키텍처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Four Pillars 미디움 글을 참고했으며, 더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재구성했습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길 바랍니다.) Opstack Architecture Opstack 아키텍처는 위와 같이 4가지의 요소로 나뉜다. op-node, op-geth는 Layer2에서 노드의 역할을, op-batcher, op-proposer는 Layer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퀀서 노드 역할을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