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이닝 (5)
Blockchain & Devops

비트코인 채굴보다 수익률이 좋았던 이더리움은 현재 Ethereum 2.0 업데이트를 앞두고 PoS 알고리즘으로 전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보니 몇년안에 PoW(Proof of work) 방식의 채굴기를 통한 마이닝이 불가능해진다. 그럴만도 한 것이 PoW는 전기 낭비와 탄소배출이 많아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비콘체인(Beacon Chain)은 스테이킹을 도입하는 첫 단계라고 보면된다. 그래서 채굴하고 있던 사람이 아니라면, PoW 이더리움 채굴은 신규 진입은 비추천한다. (그러나 2023년까지 채굴이 될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래도 일단 참고하기 위해 정리한다. 이더리움 채굴 참고요소 이더리움의 블록당 보상은 위와같이 채굴된 각 블록에 대해서 2ETH와 거래 수수료를 받는다. 현재 하루 블록 보상으..

일론머스크부터 국내에는 유명 래퍼 염따까지. 도지코인은 밈 코인의 시작이자 대표 코인이다. 이전에 비해 시총순위가 많이 떨어졌지만 이제 어엿한 메이저코인으로 자리잡았다. 테슬라의 결제수단으로 사용되고 미국의 대형마트에서도 결제를 지원한다고 하니 밈코인이라고 무시해선 안될 위치에 올라섰다. 도지코인의 전체 물량의 80% 이상이 몇 개의 지갑에 들어있을 정도로 양극화가 심한 코인이지만, 공급량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채굴하는 것도 나쁘지않다. 도지코인은 라이트코인(Litecoin)에서 포크했기 때문에 라이트코인과 동일한 Scrypt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난이도를 보면 알겠지만 도지코인은 2881328, 비트코인은 7182852313938, 라이트코인은 8717916으로 도지코인의 채굴 난이도는 비교적 낮다. ..

스토리지 코인은 파일코인과 같은 분산화 스토리지 플랫폼이자, 국내 거래소에도 많이 상장된 유명 코인이다. 현재 시총 순위는 244위로 랭킹이 계속 밀려나고 있다. 스토리지 코인의 네트워크에는 현재 12,233개의 노드가 활동하고 있으며, 전체 용량은 5.9 PB다. 파일코인이 10 EB가 넘는 것과 비교하면 아주 작다. 다른 스토리지 서비스 코인들과 비슷하게 노드를 운영하면 대역폭을 Storj DCS(Decentralized Cloud Storage)에 할당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는 조각으로 나뉘어 노드들에게 랜덤으로 보관된다. 클라이언트는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댓가로 Storj를 지불하고 노드는 보상을 받는다. 채굴 최소 요구사양 - 1 core 이상 - 최소 550GB의 저장공간 - 한 달 최소 2TB의..

분산형 P2P 스토리지 코인 중에 조상님 소리를 듣은 시아코인(SC)이다. 시아코인은 2013년 해커톤에서 나온 아이디어로 시작된 프로젝트다. 월 2달러에 1T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대비 아주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아마존은 월 23달러) 채굴방법 비트코인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PoW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래서 비트메인의 앤트마이너같은 전문 채굴기를 활용해야하는 정말 비효율적인 채굴방식이 필요하다. PoW 방식이기 때문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처럼 혼자 채굴하는 것보다 채굴풀에 들어가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F2Pool, SIAMINING이 가장 유명하다.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정해야함) 채굴할 때 전용 소프트웨어가 있다. AMD(OpenCL), Nvi..

Arweave는 솔라나 NFT 플랫폼인 메타플렉스(Metaplex)가 스토리지 공간으로 사용한다고 밝혀 유명해진 코인이다. 솔라나 덕분에 급 떡상했다. 지금은 스토리지 코인 시총 순위에서 1위 파일코인, 2위 비트토렌트에 이어서 3위에 올랐다. 알위브도 파일코인과 같이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해주는 플랫폼이다. 이 녀석도 파일코인처럼 IPFS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산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알위브는 얼마전 메사리 리포트에 언급되었던 주요 스토리지 코인이다. 파일코인이 온디맨드 방식의 서비스라면, 알위브는 장기적인 데이터 저장 플랫폼에 비유할 수 있다. 저장비용은 다른 프로젝트보다 비싼편이지만 영구저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투자회사만 봐도 엄청나다. 코인베이스 벤처스와 안드레센 호로위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