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 Devops, bitetiger

이더리움(ETH) PoW 채굴 방법 및 최소 사양, 채산성 정리 본문

마이닝

이더리움(ETH) PoW 채굴 방법 및 최소 사양, 채산성 정리

호랑이한테물릴래 2021. 12. 28. 15:59
반응형

비트코인 채굴보다 수익률이 좋았던 이더리움은 현재 Ethereum 2.0 업데이트를 앞두고 PoS 알고리즘으로 전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보니 몇년안에 PoW(Proof of work) 방식의 채굴기를 통한 마이닝이 불가능해진다. 그럴만도 한 것이 PoW는 전기 낭비와 탄소배출이 많아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비콘체인(Beacon Chain)은 스테이킹을 도입하는 첫 단계라고 보면된다. 그래서 채굴하고 있던 사람이 아니라면, PoW 이더리움 채굴은 신규 진입은 비추천한다. (그러나 2023년까지 채굴이 될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래도 일단 참고하기 위해 정리한다.

이더리움 채굴 참고요소

etherscan.io

이더리움의 블록당 보상은 위와같이 채굴된 각 블록에 대해서 2ETH와 거래 수수료를 받는다. 현재 하루 블록 보상으로 배분되는 ETH는 13,777개고 하루 생성된 블록은 6,508개다.

https://2miners.com/ko/eth-network-difficulty

채굴 난이도도 확인하면 좋다. 채굴난이도가 상승했다는 것은 채굴자들이 많이 채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쟁이 심화되고 떨어지는 ETH도 줄어든다고 해석하면 된다.

이더리움 채굴 종류

이더리움 채굴 종류는 크게 CPU, GPU, ASIC, 클라우드 마이닝으로 나뉜다.

1) CPU 마이닝
CPU를 사용하여 채굴하는 방식이다. 불과 5~6년 전에는 가능했지만 현재는 수익이 나지않는다. 

2) GPU 마이닝
그래픽 카드를 이용하는 채굴방식이다. 비교적 저렴하며 효율적이다.

3) ASIC 마이닝
채굴에 특화된 장치, ASIC을 활용한 채굴방식이다. GPU에 비해 높은 연산, 처리 능력으로 더 많은 ETH 채굴이 가능하다. (거의 월등한 채산성 기대가능)

4) 클라우드 마이닝
이더리움 채굴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에 채굴기를 대여하여 채굴하는 방식이다. 업체가 직접 관리하고 수리까지 담당해주기 때문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단점은 업체가 하는 채굴방식을 고수해야하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징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혼자 장비를 갖춰서 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수도 있다.

채굴 준비 및 요구사항

- 그래픽카드 (3GB RAM 이상의 GPU, 사양이 좋을 수록 최고임)
- Linux, Window 운영체제 (Window 추천)

채굴 순서

1)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
안정적인 채굴을 위해서 AMD, 엔비디아의 고사양 그래픽 카드는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한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금방 나온다. 의외로 여기서 놓치는 분들이 많다.

2) 마이닝 풀 선택
대표적으로 유명한 F2PooL, Ethermine을 선택하는 게 좋다. 마이닝 풀 참여는 지갑으로도 충분히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라는 풀은 선택하지 않아야한다. (물론 차후에 채굴도 KYC가 필요하도록 규제가 생긴다면 어쩔 수 없다.)

F2Pool (중국 마이닝 풀이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가 있음)
Ethermine

3) ETH 지갑 만들기 (메타마스크 추천)
보상받은 이더리움을 보관할 지갑이 필요하다. 여러 월렛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메타마스크가 사용성이 높다. 크롬 확장프로그램, 어플 등 다양한 매체로 사용가능하다.

메타마스크

4) 마이닝 소프트웨어 설치
채굴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한다. ethminer가 가장 많이 사용되므로 해당 깃허브에 들어가서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https://github.com/ethereum-mining/ethminer/releases

linux와 window 버전이 있으니 알아서 다운받아 설치하면 됨.

5) BAT 파일 생성
마이닝을 시작하기 위해서 설정파일로 사용되는 BAT 파일을 생성해야한다. Ethminer는 기본적인 세팅 파일을 제공하기 때문에 웹사이트에서 파일을 복사하면 된다.

https://miningsoft.org/en/miners/ethminer/ (이 사이트를 참고)

6) 마이닝 시작
준비가 되었다면 설치한 채굴 프로그램을 통해서 마이닝을 시작하면 된다.

채산성 계산

https://bitinfocharts.com/ethereum-mining-calculator.html

채산성은 위 링크를 통해서 사용하는 부품의 스펙을 기입하면 된다. PandaMiner B5 Plus를 기준으로 계산을 해본 결과,

수익 계산표

위와 같은 수익표가 나왔다. 평균 마이닝 수익률을 기준으로 보면 하루에 4.26달러 정도 예상하면 된다. 4.26달러는 한국돈으로 5000원 정도다.

이는 6개월 채굴 시 767.16달러의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한국돈으로는 약 90만원 가까이 된다.

이더리움 채굴도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

반응형
0 Comments
댓글쓰기 폼